You Are the Apple of My Eye (DVD+MAKING BOOK) (SPECIAL LIMITED EDTION SET)
USD36.40
- Release
- 2025-10-23
- (Expected) Date of stock
- 2025-10-23
- Mileage
- 47
- Goods code
- GD00146977
- Sales
- 6
USD36.40
* Outboxes are designed to prevent shock to protect the product, so scratches, wrinkles, discoloration, etc. may occur during packaging/delivery, which cannot be a reason for exchange.
You Are the Apple of My Eye (DVD+MAKING BOOK) (SPECIAL LIMITED EDTION SET)
PART
*초판 소진 시 재판으로 발송될 수 있습니다.
*If the first press is out of stock, the 2nd press can be shipped out.
*初版售罄时,可能会发送再版。
*初回盤売り切れ次第、再版で配送される可能性がございます。
**구매자 중 추첨을 통하여 아래 상품을 랜덤 증정합니다.
친필사인 악보
친필사인 스토리북
OST앨범
OST앨범(사인버전)
메이킹북(사인버전)
[DVD 풀슬립 한정판 구성]
- DISC : 2DISC ( 본편 + Special Features )
- 구성
* 2DISC
* 풀슬립 아웃박스
* 자켓 (양면 인쇄된)
* 56p 포토북
* 미니 포토카드 5종
* 포토카드 4종
일부 상품에는 싸인이 없는 3종과 친필 싸인 엽서 1종이 랜덤으로 포함된 총 4종의 구성입니다.( 진영, 다현, 손정혁, 김요한, 이민구, 이승준, 김민주 & 조영명 감독 중 싸인 1종)
The standard set consists of four unsigned postcards, while some special sets will feature three unsigned postcards and one autographed postcard, also totaling four postcards per set.
[메이킹북]
* 416p Making Book
* 시나리오 (스틸+콘티 등 포함)와 12가지 부록 수록
Script (Including Stills, Storyboards, etc.)
1. 컨셉, 톤앤매너/주요 공간 및 고증 이미지 자료
Concept, Tone & Manner / Key Locations and Reference Images
2. 공간 컨셉 및 디자인 자료 / Location Concepts and Design Materials
3. 헌팅 회의 자료 / Location Scouting Meeting Notes
4. 현장 배치도 및 통제 계획서 / On-Set Layout and Control Plan
5. 의상 분장 회의록 / Costume & Makeup Meeting Notes
6. 의상 피팅 / Costume Fitting
7. 교복 디자인 자료 / School Uniform Design Materials
8. 포장마차 씬, 음악 반영 글 콘티
Storyboard for Food Stall Scene & Music Integration Notes
9. 웹툰 자료 / Webtoon References
10. 촬영 현장 사진 / On-Set Photography
11. B컷 /B-Cuts
12. 단체 사진 / Group Photos
[프리오더 특전 Pre-Order Benefit]
A3 포스터 2종 증정
TRACK LIST
Disc. 1 : Feature Film (101Mins)
* Feature : 2.35:1 Anamorphic Widescreen
* Audio : Korean Dolby Digital 5.1
* Commentary by 감독 조영명(Cho Young-myung), 진영(Jin Young), 다현(Da-hyun),
손정혁(Sohn Jeong-hyuck), 김요한(Kim Yo-han), 이민구(Lee Min-goo)
이승준(Lee Seung-jun), 김민주(Kim Min-ju)
* Subtitle : Korean, English
Disc. 2 : Special Features
* 빛나던 시절 Days That Shined Bright (Making 1: High School Days)
* 아직도 철 들지 못한 Forever Young at Heart (Making 2: After Graduation)
* 담지 못한 이야기 Stories Left Untold (Deleted Scenes)
* 인도네시아 투어 스케치 Indonesia Tour Sketch
* 뮤직비디오 Official Music Video
* 손정혁 뮤직비디오 Sonh Jeong-hyuck’s Music Video
* 예고편 Official Trailer
INFORMATION
어느 날, 수업 시간에 장난을 치다 걸린 ‘진우’는 벌로 반장 ‘선아’의 앞에 앉아 특별 감시를 받게 된다.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모범생 ‘선아’와 장난스러운 ‘진우’의 사이는 점점 가까워지고 서로에게 끌리는 속마음과는 달리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데 서툴기만 한데… 그 시절, 우리의 첫사랑이 시작된다!
[영화 소개]
한국판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는 2011년 대만 동명 원작의 정서를 한국 2000년대 학창시절 감수성으로 새로 빚어낸 청춘 로맨스입니다. 2024년 부산국제영화제 ‘코리안 시네마-파노라마’ 섹션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첫선을 보였고, 한국 극장 개봉은 2025년 2월 21일입니다.
이 영화가 가진 힘은 “첫사랑을 떠올리게 만드는 디테일”입니다. 장난기 많은 문제아 진우와 모범생 선아의 미묘한 온도차, 친구 무리의 유대감, 졸업과 이별을 지나 성인이 된 뒤의 어긋남까지-풋풋함과 씁쓸함이 교차하는 리듬이 한국적 생활감으로 자연스럽게 흐릅니다. 개봉 당시 국내 언론은 “원작의 향수를 한국적 정서로 번안해 낭만과 현실을 함께 잡았다”고 평했습니다.
[주연 배우]
진영 (정진영, B1A4) — “장난에서 어른으로”
진영은 ‘진우’를 통해 허세와 불안, 진심을 동시에 품은 청춘의 얼굴을 설득력 있게 보여줍니다. 아이돌 리더에서 배우로 스펙트럼을 넓힌 그는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 『경찰수업』 등에서 누적해 온 로맨스·청춘 캐릭터의 결을 이번 영화에 채화했습니다. 특히 후반부 자기감정과 마주하는 통과의례를 절제된 톤으로 끌어가며, 관객이 “그 시절의 나”를 투영하도록 만듭니다.
다현 (TWICE) — “첫 스크린 주연의 깔끔한 데뷔”
다현은 영화 첫 주연이지만, ‘선아’의 지성·온기·단호함을 과장 없이 담아냅니다. 인터뷰에서 그는 “관객에게 위로와 기쁨을 주는 배우가 되고 싶다”고 밝히며 섬세한 눈맞춤·호흡으로 장면의 감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진우와의 ‘엇갈림을 받아들이는 순간’에서 표정의 미세한 흔들림이 강한 잔상을 남깁니다.
두 배우의 합은 현실적인 케미로 귀결됩니다. 장면마다 과장을 덜어낸 대사와 쉬운 호흡, 자연스러운 틈이 관객 체온을 유지하게 합니다. 개봉 리뷰 역시 “진영·다현의 호흡이 원작의 낭만을 현재로 옮겼다”고 요약합니다.
[제작·연출 포인트]
조영명 감독은 원작의 시간 점프(고교→성인) 리듬을 한국 관객의 체감 속도에 맞춰 조정했습니다. 음악(이종명/Ecobridge)과 2000년대 소도구·장소를 섬세히 배치해 기억의 촉감을 살리고, 인물 동선은 단순화해 감정선의 상승·하강을 또렷이 만듭니다. BIFF 프리미어 이후 상영·개봉 라인도 신속하게 이어지며 입소문을 확대했습니다.
[원작(소설·영화) 설명]
원작은 대만 작가 구파도의 반(半)자전적 베스트셀러 소설로, 작가의 실제 학창시절 첫사랑을 바탕으로 합니다.
2011년 동명 영화(감독: 구파도)는 장난꾸러기 청년과 모범생 소녀의 시간을 유쾌·쓸쓸하게 직조해 아시아 전역에서 ‘첫사랑 신드롬’을 일으켰습니다.
대만에서 기록적 흥행을 달성하며 여름 박스오피스를 주도했고, 해외 페스티벌과 마켓에서 화제를 모았습니다.
인물 심리의 리얼리티·생활 유머·노스탤지어를 결합해 청춘 로맨스의 새로운 문법을 정착시켰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한국판은 이 정서를 한국적 일상·언어·풍경으로 재조립해 세대 공감의 폭을 확장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해외 개봉]
인도네시아에서 한국과 동일 날짜(2025년 2월 21일) 개봉. 현지 주요 매체와 CGV 인도네시아 채널을 통해 동시개봉이 공지되었고, 태국(3/6), 필리핀(3/12) 등이 연이어 확정됐습니다. 이는 동남아 팬덤 중심 마케팅의 성과로, BIFF 이후 적극적인 현지 프로모션이 이어졌습니다.
일본 현지 타이틀 『あの夏、僕たちが好きだったソナへ』로 2025년 8월 8일 전국 개봉(무비치케 카드 사전 판매 포함). 일부 지역 상영관은 8/29~9/11 기획 상영 등 확대 상영을 진행했습니다. K-POP 팬덤 저변과 원작 인지도가 결합해 여름 청춘 흥행 라인업에 편성된 것이 특징입니다.